산부인과 태아 초음파 용어 알아보기 (LMP, GA, EDD, CRL, FL, EFW 등)
✔ 산부인과 초음파 용어
안녕하세요. 임신하게 되면 산부인과를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초음파로 뱃속의 태아가 잘 크고 있는지 확인하게 되는데요.
초음파를 보면서 설명을 해 주시기는 하지만 간단하게 설명을 해 주시기도 하고, 나중에 초음파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서 나오는 수치는 어떤 것인지 잘 몰라 찾아보게 됩니다.
저도 집에 와서 신기하고 기분 좋게 초음파를 계속 보다가 궁금해서 검색해 보다가 정리를 해 봤습니다.
1. LMP (Last Menstrual Period): 최종월경일
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의미합니다.
2. GA (Gestational Age): 임신기간, 임신주수
태아의 주수를 뜻하며 Ow Od (O week, O day), 주와 일수로 표기됩니다.
임신 몇 주 며칠인지 알 수 있어요.
※ GS (Gestational Sac): 임신초기 아기집 크기를 말합니다.
3. EDD (Estimated Due Date): 분만 예정일
GA를 바탕으로 산정된 분만 예정일입니다.
EDC (Estimated Day of Confinement)라고도 하며 출산 예정일을 말합니다.
4. CRL (Crown Rump Length): 머리부터 엉덩이까지 길이
임신 초기에는 CRL로 태아의 크기(키)를 확인합니다.
임신 중기부터는 머리직경, 복부둘레 등으로 예상 키를 확인하기 때문에 중기부터는 크게 의미를 두지 않는다고 합니다.
5. NT (Nuchal Translucency): 목투명대
11주~13주 사이 1차 기형아 검사에서 확인하게 되는데요. 목덜미 투명대를 뜻합니다.
6. FL (Femur Length): 허벅지 길이
골반 밑부터 무릎뼈까지 사이(허벅지 다리길이), 넓적다리뼈 길이, 대퇴골의 길이입니다.
7. BPD (Biparietal Diameter): 머리직경
양쪽 옆통수 뼈와 뼈 사이의 길이를 말합니다.
8. HC (Head Circumference): 머리둘레
태아의 머리둘레입니다.
9. AC (Abdomen Circumference): 복부둘레
태아의 복부둘레입니다.
10. EFW (Estimated Fetal Weight): 태아 추정 체중
태아가 성장하면서 초음파로 태아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보기 어려워지는데요.
이 때는 태아의 머리직경, 머리둘레, 복부둘레, 대퇴골 길이를 확인해 체중과 태아의 성장정도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.
여러 신체 부위를 측정해 예상 키와 체중을 확인하게 됩니다.
이 외에도 산모 관련
· CL (Cervical Length): 자궁경부길이
· GDM (Gestational diabetes mellitus): 임신성당뇨
· G-HTN (Gestational hypertension): 임신 중독증
등의 용어가 있습니다.